반응형

이제 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보자.

파이썬에서 출력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.

이전에 주피터 노트북을 설치한 뒤 print라는 걸 입력한 뒤 사용해 봤을 것이다.

print("Studying Python")

끝.

실행을 해보면

잘 출력된다.

print에서 문자열.. 그러니까 숫자가 아니라면 ''혹은 "" 과 같이 작은따옴표나 큰 따옴표로 감싸줘야한다.

 

 

print는 단순히 문자만 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와 같이 간단한 연산도 가능하다.

#더하기
print(3+5)
#빼기
print(3-5)
#나누기
print(3/5)
#곱하기
print(3*5)
#제곱
print(3**2)
#몫
print(5//2)
#나머지
print(5%2)

이때 #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는데, #은 주석이라고 한다.

파이썬에서 #이 적힌 줄은 없다고 인식하므로 간단한 설명을 적으면 다른사용자와 코드를 공유하거나

본인이 코드에 대한 설명을 적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.

 

또 위와 같은 계산에도 우선순위가 있는데 우선순위는 Python 공식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
() Parentheses
** Exponent
+x, -x, ~x Unary plus, Unary minus, Bitwise NOT
*, /, //, % Multiplication, Division, Floor division, Modulus
+, - Addition, Subtraction

위에 있을 수록 먼저 계산된다.

공식 사이트  주소의 경우 다음과 같다. https://docs.python.org/3/reference/expressions.html

 

 더하기의 경우 숫자뿐 아니라 문자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.

아래의 예시를 보자.

# +사용
print("안"+"녕하세요")

사진과 같이 서로 떨어진 글자를 붙여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.

단, 주의할 점은 따옴표가 있는 경우 string 이라고 하고 그냥 숫자만 있으면 int라 하는 type이 있기 때문에

print("숫자"+3)

과 같은 코드는 오류를 낸다.

type이 서로 달라서 생긴 오류다.

이럴경우

print("숫자"+"3")

이라고 해주면

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3의 type을 따옴표를 통해 int가 아닌 string으로 바꿔준 것이다.

반응형
Dvlp.Jun